담도암 담낭암은 증상이 있어 병원을 찾으면 이미 암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가 많은데요.

그렇기 때문에 증상을 느끼기 전에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암을 발견해야 치료가 쉽고 완치율도 높일 수 있습니다.

검진 중 진단의 단서가 되는 증상이 확인되면 검사실 검사와 영상학적 검사, 조직학적 검사 중에서 적합한 검사를 추가로 받아야 합니다.

 

 

 

 

 

 

담도암과 담낭암은 증상이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초기에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게다가 점막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암의 진행을 물리적으로 저지해줄 근육층이 발달하지 않아 조기에 주변 장기로 침범하거나 원격 전이가 일어납니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기회인 정기 건강검진을 소홀히 해서는 안됩니다. 검진 중에 진단의 단서가 되는 증상들이 발견되면 즉시 추가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담도암 초기증상

황달

 

담도암은 건강검진에서 복부초음파 등을 통해 간담도를 확인하기 전에는 조기에 발견할 수 없습니다. 종양이 담도를 완전히 막을 정도로 자란 후에야 황달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담낭암은 담도암보다 더 진행된 상태에서 담도를 막기 때문에 증상이 있어 병원을 찾으면 예외 없이 모두 암이 진행된 상태 입니다. 게다가 담도와 담낭은 위장관보다 조직이 얇고 점막에 생긴 암을 저지할 수 있는 근육층이 발달하지 않아 조기에 주변 장기로 침범하거나 원격 전이가 일어 납니다.

 

황달 증상이 보인다면 병원 방문이 우선

 

담도암과 담낭암은 증상이 있기 전에 건강검진을 통해 발견해야 완치율이 높습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을 위해 반드시 정기적으로 혈액검사와 영상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간내 담도암은 복부초음파로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간외 담도암과 유두부암의 경우 암이 담도를 완전히 막지 않아도 담도가 늘어나기 때문에 이유 없이 담도가 늘어나 있으면 담도암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담도가 확장되면서 황달 수치인 혈중 빌리루빈 수치에 이상이 있거나 이보다 먼저 혈중 알카라인포스파타제 수치가 올라가 있다면 활달이 없어도 담도암을 의심하고 적극적으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등의 검사를 추가로 받아야 합니다. 유두부암은 위내시경 검사 시 십이지장 제2부까지 관찰하기 때문에 유두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유두부가 커져 있거나 암으로 인한 궤양이 발견 되기도 합니다.

 담낭암은 복부초음파에서 암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담낭용종을 발견해 수술로 절제하려다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용종 형태에서 진행하는 암 이외에 담낭벽이 두꺼워지는 양상으로 암이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은데, 이 역시 복부초음파에서 쉽게 발견됩니다. 담낭벽이 두꺼워져 있다면 여러 질환을 의심해야 하는데, 수술이 필요한 전암 병변인지 아닌지는 내시경초음파와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등을 추가로 시행한 후 결정합니다. 만약 취담관합류 이상 때문에 담낭벽이 두꺼워졌다면 수술을 해야 합니다. 담낭은 수술로 절제하기 전에는 확진을 위한 조직검사를 할 수 없는 장기이므로 대부분 담낭벽이 두꺼워지는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에 의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 합니다.

 

 

 

 

TIP !  간기능 혈액검사가 담도암 조기 진단의 단서가 될 수 있을까?

 

담도가 막혀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 증상만으로도 담도폐쇄를 알 수 있습니다. 암이 담도를 완전히 막아 담즙 안에 있는 빌리루빈 혈액으로 역류하면 혈액의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고 소변색이 붉어지며 눈의 흰자가 노래지는 황달이 생깁니다. 하지만 이렇게 담도폐쇄가 나타나기 전에는 혈액의 빌리루빈 수치가 올라가지 않고 황달 증상도 없습니다.

 이런 경우 간기능 혈액검사에서 빌리루빈 수치는 정상이더라도 알칼라인포스파타제 뼈모세포에서도 생성되며, 임신한 산모의 태반에서도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이나 임산부는 혈중에 알카라인포스파타제 수치가 상승해 있습니다. 즉 소아청소년 환자와 산부인과 환자들은 혈액검사에서 알카라인포스파타제 수치가 올라가 있다 하더라도 이상 소견이 아닙니다.

 

 하지만, 일반 성인인데 알카라인포스파타제 수치가 상승해 있다면 간에 이상이 있거나 담도암, 췌장암 등에 의한 담도폐쇄를 의심해야 합니다. 혈액검사를 받은 고령의 환자에서 이를 단서로 간담췌 계통의 암을 발견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담도암 담낭암을 유발하는 요인

담도암과 담낭암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담도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는 만

fire-movements.com

 

담도암 담낭암 이란? 정의부터 원인 및 대처까지

담도암과 담낭암은 전체 암 가운데 2.9%를 차지하며, 암 발생 빈도는 8위입니다. 5년 생존율은 20~40%에 불과합니다. 이렇듯 정확히 장기 어떤 위치에서 발생된 암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앞으로의

fire-movements.com

 

+ Recent posts